본문 바로가기

New World

New world(뉴 월드): 초보자를 위한 시작 가이드 01

New world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최근 플랫폼 스팀 그리고 트위치 등지에서 화제가 된 게임이 있습니다. 바로 Amazon Gaming Studio의 신작 New world입니다. 게임이 풀린 9월 28일 무려 동시접속자 수가 70만 명, 트위치 시청자 수가 40만 명에 달하며 국내/해외를 가리지 않고 뜨거운 관심을 보였습니다. 때문에 서버에 접속하지 못한 플레이어들의 긴 대기열(queue)이 입방아에 오르기도 했지요. 놀라운 사실은 New world가 한국어화가 되지 않은 게임이라는 사실입니다. 언어 미지원이라는 큰 진입장벽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국 게이머들은 이 신작 mmorpg에 발을 디뎠습니다.

 

아시아권 언어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게임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게임 내 채팅, Help(도움) 섹션에서 질문을 하고 답변을 얻거나 포럼 등에서 게시물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이는 전부 플레이어의 몫입니다. 그 때문에 처음 Aeternum(이후 이터눔)의 세계에 도착한 플레이어를 위해 도움이 될 만한 가이드를 쓰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지역(서버), 월드

 

시작에 앞서 중요한 일은 바로 지역(서버) 그리고 월드를 정하는 일입니다.

 

지역과 핑 그리고 캐릭터 제한

 

안타깝게도 게임에서 서비스하는 5개의 지역 중 아시아 서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버는 AP Southeast(호주), SA East(남미), US West(미국 서부), US East(미국 동부), EU Central(유럽)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보통 한국에서 핑이 낮은 곳은 호주나 미국 서부로 그 두 곳에서 게임을 하는 유저들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모든 서버에는 캐릭터를 두 명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서버 아래에는 수많은 월드가 존재하는데 그 월드가 바로 자신이 플레이하는 장소가 됩니다. 친구와 함께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같은 서버, 같은 월드로 가는 게 중요하겠죠.

월드 이름이 독특하다고 느끼셨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다보면 El dorado(엘 도라도)나 Valhalla(발할라)같이 어라? 싶은 익숙한 이름이 보이죠. 제작진은 모든 월드 이름을 신화 혹은 전설과 관련된 장소나 키워드로 정했습니다.

 

경고 페이지. 한 월드 세트에서 캐릭터를 생성하면 같은 월드 세트, 다른 월드에서는 캐릭터 생성이 불가능해집니다.

 

위 페이지를 예시로 들어봅시다. 서버는 호주, 월드는 Lagado(라가도)라는 곳입니다. 이 월드는 Pangaia Eta(판게이아 에타)라는 월드 세트에 귀속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캐릭터를 만들면 Pangaia Eta에서의 추가 캐릭터 생성은 잠깁니다. 따라서 Lagado를 제외한 다른 Pangaia Eta의 월드에서는 더 이상 플레이가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많은 플레이어가 예상하기를 이런 시스템은 추후 플레이어 수의 변동에 따라 월드 통합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합니다.

월드 중에서 캐릭터 생성이 불가능하게 막힌 곳이 있는데, 이곳은 인원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발진 측에서 제한을 걸어둔 것입니다. 런칭 첫날 사람들이 인기 있는 월드를 들어가기 위해 대기열에서 몇 시간, 심하면 10시간 이상까지도 기다린 것을 감안하면 좋은 패치라고 생각합니다.

월드를 고르는 순간부터 뉴 월드의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게임의 시작

 

 

여러분은 어떤 함선의 선원입니다. 시작되는 오프닝 시네마틱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자신의 상관, 즉 선장이 루소 신부라는 이에게 이터눔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는 것입니다. 이 루소 신부라는 이는 자신이 이터눔의 생존자라 말합니다. 또한 이 장소는 실존하며 대서양 어딘가에 있음을 알려줍니다. 그가 건넨 상자에는 이 세상의 물질이 아닌 무언가가 들어있었습니다. 덧붙이길 그 상자가 이터눔으로 인도해줄 것이라 전하죠. 추측컨데 이터눔에서만 얻을 수 있는 물건이나 물질, 자원으로 보입니다. 대체 무엇이 들어있었는지는 몰라도 선장은 바로 선단을 이끌고 이터눔으로 향하게 되고 당신은 바로 그 배에 탄 불쌍한 영혼 중 하나입니다. 모험이라면 위험을 동반하는 게 당연한 일인 걸까요? 갑자기 쏟아지는 높은 파도와 함께 플레이어는 그대로 물속에 빠져 생사를 오가다 이터눔의 해안에 발을 디디게 됩니다.

놀랍게도 해변에는 이미 같은 처지의 함선들이 수없이 좌초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겨우 검과 목숨만을 건진 당신은 심한 부상을 입은 듯 보이는 선장, 알두스 토르페를 발견합니다.

 

선장 알두스 토르페, 추방당한 해군 사령관.

 

아마도 부상으로 인해 정신이 혼미한 듯 보이는 그는, 당신이 상자를 훔쳐갔다며 몰다가 모든 사실이 믿기지 않는 듯 참담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퀘스트를 수락하면, 첫 번째 퀘스트 [유일한 생존자]가 시작되며 알두스는 기이하게도 스러져버립니다. 자리에 남은 방패와 간단한 식량을 챙기고 당신은 이 삭막한 선박의 무덤에서 길을 찾아 떠납니다. 운이 좋다면 동료들을 찾기를 바라면서 말이죠.

(*이후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여러분이 직접 경험하도록 비워 두겠습니다.)

당신에게 벌어진 일은 믿기 힘든 것이었습니다. 길을 따라가던 당신은 정신을 잃고 다시 한번 모래밭에서 눈을 뜨게 됩니다. 눈앞에 있는 감시탑에서는 답을 찾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말입니다. 그렇게 이터눔에서의 생활이 시작됩니다.

 

시작 지역

 

이터눔에 도착한 플레이어는 4가지 시작 지역 중 한 곳에서 여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바로 Everfall(에버폴), First Light(퍼스트 라이트: 여명), Monarch's Bluff(모나키스 블러프: 제왕의 절벽) 그리고 Windsward(윈스워드)입니다. 이 모든 구역의 권장 레벨은 1-25로 초반 많은 시간을 이곳에서 보내게 됩니다.

 

시작 지역들. 색이 다른 이유는 추후 포스트로 설명하겠습니다.

 

지역에 흩어져있는 랜드마크("?" 마크로 되어있으며 근처에 도달해 발견하면 이름과 권장 레벨(Recommended level), 간단한 설명이 표시됩니다. 초반 퀘스트는 간단한 전투, 수집, 제작 등의 튜토리얼을 담고 있습니다. 해변 감시탑에서 퀘스트를 완료하면 여러분은 각 지역의 정착지(Settlement)로 향하게 되죠. 간단한 팁이라면 주변에 보이는 돌(Flint)덤불(Bush)을 뒤지면 나오는 생목(Green wood)를 소량 모아둘 것을 추천합니다. 초반 제작 퀘스트에 쓰이기 때문입니다.

 

메뉴에 대하여

 

게임을 시작하기 전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일은 작지만 큰 도움이 됩니다.

 

길드, 지도, 일지, 캐릭터, 상점, 설정, 게임 메뉴.

1. 길드(Company)

 

많은 사람들과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는 사람들과 함께 만들 수도 있고 이미 존재하는 길드를 가입할 수도 있겠죠. 길드는 파벌(Faction)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만들거나 가입할 수 없습니다. 파벌 아래에 길드가 있기 때문입니다. 길드장이 되면 길드 문장과 이름을 결정하고 바꿀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지역을 점령할 수 있고 길드 금고(Treasury)에 돈을 함께 모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출금 한도(Daily withdrawal limit)를 정하는 것도 그의 권한 중 하나입니다.

 

2. 지도(Map)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도입니다.

 

 

지도에서는 현재 자신의 위치와 지역의 정착지, 요새 그리고 빠른 이동 지점 등이 보입니다. 줌인/줌아웃마우스 휠로 가능하며 가고 싶거나 기억하고 싶은 곳에 오른쪽 클릭으로 웨이포인트(Waypoint) 지정도 가능합니다. 없애는 법은 다시 한 번 오른쪽 클릭을 하면 됩니다.

왼쪽을 보면 지도 메뉴가 보이실 겁니다. 각각 Objectives(목표), Upcoming wars(전쟁 일정), Resource locations(자원 분포 장소), Territory standings(지역 평판), Filters(필터)로 구성됩니다.

 

1) Objectives(목표):

현재 퀘스트를 선택하면 지도 중심에 목적지가 표시됩니다.

2) Upcoming wars(전쟁 일정): 파벌 간 점령 전쟁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Resource locations(자원 분포 장소)

: 자원들이 어떤 종류의 지형에 분포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원 분포 지형 안내.

 

Impassable area(이동 불가 지형) -
Forest(숲) Trees(나무), Hemp(삼), Herbs(허브)
Grassland(초원) Herbs(허브), Hemp(삼)
Highland(산악 지대) Precious minerals(희귀 광물), Boulders(바위)
Marsh(습지) Oil(석유)
Shrubland(관목지: 작은 덤불/나무들이 모인 지형) Berries(베리), Bushes(덤불)
Coastal hills(해안가 언덕) Flint(돌), Bushes(덤불)
Beach(해변) Flint(돌)

 

4) Territory standings(지역 평판): 지역 활동으로 얻는 명성을 기반으로 어떤 보너스를 받는지 알려줍니다.

5) Filters(필터): 플레이어 아이콘, 리스폰 지역, 랜드마크 등의 표시를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3. 일지(Journal)

 

목표(Objectives)와 문서(Document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표 페이지에서는 메인 스토리(Main story)/부가 퀘스트(Side stories)/파벌 미션(Faction mission)/정착지 프로젝트(Town Project)/레시피(Recipie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퀘스트에는 퀘스트 이름, 지역, 권장 레벨이 표기되어 있으며 진행 목표와 보상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끝에는 화면에 고정하기(Pin), 재시작(Reset) 그리고 맵에서 위치 확인(View in map)을 선택할 수 있죠.

문서 페이지에서는 이때까지 모은 자료(편지/공문/목록 등...종류는 다양합니다!)를 분류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 스토리/로어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꼭 챙겨야 할 부분으로, 맵 곳곳에 푸른 아우라가 감도는 종이들이 존재하는데 가까이 가서 E를 누르면 일지에 등록됩니다.

 

1) 고정하기(Pin): 게임플레이 메인 화면 오른쪽에 퀘스트 목표를 알려주는 트래커를 보여줍니다. 총 6개까지 고정할 수 있으며 그 이상 고정하기를 눌렀을 시 가장 오래된 고정 퀘스트 트래커부터 사라집니다.

2) 재시작(Reset): 현재 진행 과정을 다시 시작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종종 퀘스트 진행에 버그/오류가 생겼을 때 눌러주면 현재까지 진행한 부분 중 페이지에 표시된 목표(체크박스로 확인)들을 다시 할 수 있습니다.

3) 맵에서 위치 확인(View in map): 현재 목표 장소를 지도로 바로 보여줍니다.

 

4. 캐릭터(Character)

 

프로필(Bio), 특성(Attributes), 무기 숙련도(Weapon mastery), 작업 기술(Trade skills), 도전과제(Achievement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필에서는 파벌(가입 파벌과 랭크, 토큰), 월드, 칭호, 길드, 지역 평판 보너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성에서는 성장 포인트를 분배할 수 있고 무기 숙련도에서는 무기를 사용함에 따라 얻은 포인트로 레벨을 올려 스킬을 찍고 패시브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합쳐져 캐릭터의 전투 방식을 결정합니다. 작업 기술제작, 정제, 채집 등 기술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페이지로 레벨에 따라 할 수 있는 작업을 알려줍니다. 마지막으로 도전과제는 게임을 진행하며 달성하는 목표로 종류에 따라 칭호를 주는 것도 존재합니다. 칭호는 프로필 페이지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프로필 화면. 파벌/칭호/길드/지역 보너스 등.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다룰 예정이라 간단한 설명으로 마무리하겠습니다.

 

5. 상점(Store)

 

게임의 유료 컨텐츠를 모아둔 곳입니다. Marks of fortune(재물 인장)을 구입하여 염색약, 감정표현, 장비 스킨, 하우징 아이템, 추가 길드 인장 등을 구매 가능합니다. 한화로 10,500원에 10,000개(+보너스 1,000개)로 가치를 알기 쉽습니다.

 

6. 설정(Settings)

 

키 설정이나 게임플레이, 그래픽, 오디오, 소셜(음챗 등) 관련 설정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습니다. 이후 포스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7. 게임 메뉴(Game menu)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생성된 큰 돌이나 암벽, 건물 등에 끼어 움직이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기능이 바로 탈출(Unstuck) 기능입니다. 빠른 이동으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깝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곳으로 갈 수 있습니다. 여관으로 귀환(Recall to inn)은 플레이어가 등록한 지역 정착지의 여관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으로 쿨타임은 60분입니다.

뉴 월드를 즐기며 느낀 점이나 개선 의견 등은 피드백 보내기(Submit Feedback)로 보낼 수 있습니다. 게임의 사양이나 간단한 도움말은 도움 페이지(Help page)에서 확인이 가능하죠. 이외에도 자신이 있는 월드를 확인할 때 가장 빠른 방법이 바로 esc를 누른 후 게임 메뉴에서 오른쪽 아래, 월드 이름을 보는 법입니다.

 

1편은 이쯤으로 마무리짓겠습니다. 이후 파벌, 길드, 아이템 티어와 희귀도, 채집과 제작, 인벤토리와 무게, 명성 레벨, 세계관/스토리 등을 다룰 예정입니다. 그럼 이터눔에서 뵙겠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보고 싶은 가이드가 있으시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New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 world(뉴 월드): 초보자를 위한 시작 가이드 02  (0) 2021.10.21